본문 바로가기

Java Spring Boot

terminal 단축키(mac os) / zsh, oh-my-zsh, iterm2

 

mac기준 

현재 디렉토리 위치 : pwd(print working directory)
window -> cd

디렉토리 위치에 있는 파일들 : ls
window -> dir


oh-my-zsh 설정 하는법 

Homebrew 사이트 접속
코드 터미널에 넣기
터미널에서 brew install zsh
zsh —version로 버전 확인 가능

기본이 bash로 되어있다면, zsh로 바꿔주기
which zsh : 위치 확인 가능
위치가 zsh로 안되어 있다면 
—> chsh -s /bin/zsh (원하는 위치로 변경)
(또는 한번에 chsh -s ‘which zsh’로 변경 가능)

터미널 재시작 후 —> echo $SHELL 
(현재 사용 중인 쉘의 경로 출력)
<—> which zsh과 차이점 
* echo $SHELL : 현재 로그인 쉘의 경로를 보여줌
* which zsh : zsh 명령어가 시스템에서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보여줌

# oh-my-zsh (customize)
Curl -L + 1칸 띄우고 +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ohmyzsh/ohmyzsh/master/tools/install.sh
(인식 안될 시, brew install curl 우선 설치 후 진행)

vi ~/.zshrc
i : 에디터 수정
:w 파일 저장
:q 파일 종료
:wq  파일 저장 후 종료

#oh-my-zshl 플러그인 확인
vi ~/.oh-my-zsh/plugins

Zshrc 세부 내용 수정
vi ~/.zshrc 

터미널에서 적용 시키기
Source ~/.zshrc

/////////

Zsh

Q 클릭 —> 화면 나가기
Control + c —> 강제 종료(나가기)
Clear —> 내용 전체 지우기

pwd
pring working directory

Ls 
Ls -a
-는 옵션이라는 뜻 / 추가적인 내용 사용할 경우
Ls -al 숨은 파일 포함해서 보여주기

Cd  / 디렉토리 이동
Change directory

Cd .. //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

Cd ~ // 홈 폴더로 이동

Cd + finder에서 폴더를 넣으면, 경로 보여줌

Cd ~/Desktop 
cd(홈 폴더)에 있는 Desktop폴더로 이동할 때

Mkdir (폴더 생성)
Mkdir test  // 빈 test 폴더 생성됨.

touch + 파일명(파일 생성)
touch text.txt (text.txt 파일 생성됨)

touch ~/Desktop/second.txt 
홈 폴더인 Desktop내부에 second.txt 파일을 만듦

rm + 파일명(파일 삭제 / 휴지통 거치지 않고, 바로 완전 삭제됨)
rm ~/Desktop/second.txt // second.txt파일 삭제
(rm사용하기 보다는, trash사용 하는게 나음)

rm -r 파일명 (파일 삭제)

man ls (메뉴 전체 리스트)


///
Iterm2
https://iterm2colorschemes.com/
세팅 순서 페이지에서 확인하기
Cmd + i


///
Oh my zsh
https://ohmyz.sh/#install
사이트 하단의 링크를 터미널에 넣기

터미널에서
Open .zshrc 
기본으로 설정 되어있는 zshrc파일이 열림